현랑의 잡동산이(雜同散異)
주로 마이너한 것을 번역하는 초짜 번역자의 블로그입니다. 지금은 三国志アイドル伝 ─後漢流離譚─을 번역하고 있습니다.
왜 ‘벚꽃 서곡(桜序曲)’이 아니라 ‘벚꽃 서곡(桜抒曲)’인가? (なぜ『桜序曲』ではなく『桜抒曲』なのか) 번역

출처 : http://www.i-love-key.net/archives/2007/11/post.html


이 글은 한 번쯤 고찰해볼만 한 질문에 답하는 것이라 번역해 봤습니다


보통 서곡은 '序曲'이라 하는데, 이 곡은 특이하게 '抒曲'이라 하니까요



 <CLANNAD remix album-memento->의 마지막 트랙으로 수록되어 있는 桜抒曲(벚꽃 서곡)』, ‘어째서, 10분 넘는 곡이 되었는가? 이건 누굴 위한 건가?’ 는 가사 카드에서 히구치 히데키(樋口秀樹)[각주:1]가 해설 하고 있습니다, 그러나, 桜抒曲인 건가,


이런 류의 증거는 꽤 있습니다만, 아마 수요는 아무데도 없겠죠.

비교적, 아무래도 좋을 것에 대해서 이야기하므로 바쁜 사람은 넘겨주세요.


리스펙트 마에다 준(リスペクト麻枝准)’[각주:2] 의 멤버 중 한 사람에게서 이런 질문을 받았습니다.




 왜 <벚꽃 서곡(桜序曲)>이 아니고 <벚꽃 서곡(桜抒曲)>인가?

다시 말해 广(집 엄)+가 아니고 인 것인가.

그러니까, ‘역시, 이것도 어느 쪽이라고 보기에는 이중 의미가 아닌가,‘라고 봅니다만. 보통 序曲’, 즉 처음, 전조를 담고 있으면서도, ‘抒曲마음을 표현하는 곡이라는 것으로 생각됩니다.

또한 느긋함(이라는 의미가 있는) ‘를 나기사()로 본다면, 집에 들어간 나기사의 학교졸업가정 (생활)’을 표현하고 있고, ‘는 손을 내밀어 잡으니, <작은 손바닥>으로 우시오()의 출산과 연관 지은 것인가라고 (볼 수 있을 것입니다만)

내용에 대해서는 새로운 생활 (또는 출산) 으로의 <서곡(序曲)> 이고, 메타적으로는 (, 곡만으로 파악한다면) <작은 손바닥> 에 대응되는 것이라 여깁니다.


 이런 느낌으로 적당히 생각해 봤는데 어떻습니까,

서클 대표인 마쿠라 씨(さん)가 보는 바는.

어쩌면, 마쿠라 씨에게는 뭘 새삼스레일지도 모르지만요.

 



확실히 말하자면, 작사를 한 히구치씨에게 메일로 질문하는 것이 가장 빠르겠지만, 제 나름대로의 해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
 

  시간축 상으로는 <작은 손바닥> <벚꽃 서곡>으로서, 벛꽃 서곡에서 그려진 우시오는 제법 성장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


 근거는 <작은 손바닥>의 가사는 기본적으로 미래형이나, ex.‘언제부턴가’, ‘언젠가 올 그 날은’, ‘저 봄 노래’, ‘언젠가’, ‘이윽고 다가올 그 날은

 <벚꽃 서곡>의 가사는 현재형으로, 과거를 돌아보는 장면도 있습니다. (ex. ‘머나먼 기억에서 마음을 달리게 하네’)


이렇게 생각하면, <벚꽃 서곡>은 성장한 우시오가 과거를 돌아보고 있다는 게 가장 자연스럽겠죠.

 

'몹시 황폐해진 초원'과 새하얀 세계등은 환상세계의 일로 봐도 틀리진 않겠고, ‘소원이 이루어지는 저 장소에서 그 때는 저 장소에서 봄바람이 불 어오겠지<CLANNAD> 에필로그의 일이겠지요. ‘봄바람(<りぃすたーふぃっしゅ>[각주:3]가 흐르니) 후코의 일이겠죠,

 <작은 손바닥>에서 이윽고 다가올 그 날은 새로운 계절을 시작했어(가사가) 있지만, ‘이윽고 다가올 그 날<벛꽃 서곡>에서 무사히 맞을 수 있었다. 고 해석할 수 있다면 기쁘겠네요.


 다만, 가사 카드에서 히구치 씨는 이 곡은 불특정 다수를 위한 것이기도 하다.’라고 말씀하셨으므로, 우시오 뿐만 아니라 나기사, 토모야를 위한 곡도 되지만요,

 

그럼 여기까지 생각해보면 질문자의

‘‘는 나기사의 학교졸업가정 (생활)’을 표현하고 있고

이 뒤 부분은 성립될 수 없는 것

이라는 게 제 의견입니다.

 




이상입니다.

 

이하는 그에게서 온 답장의 원문입니다.

내용은 위와 거의 동일합니다.




히데키 씨

이야기는 다시 둘이 여행을 떠나자고 한 그 겨울날부터 시작된다.

  라는 것 때문에, 출산으로의 서곡보다는, 나기사, 토모야, 우시오의 이제부터의 이야기인 곡은 아닐까 여깁니다.


, ‘에 관해선 히구치 씨가 우시오에 대해서 스스로 에필로그를 써도 좋다. 다행히, 그것을 할 수 있는 입장에 있다.”라 말씀해 주셨으므로, 역시 서정(抒情)’ ‘서회(抒懐)’ 등의 (마음을 표현하는 곡) 의미로 가 상당히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을지도요.

 

는 손을 내민다 <작은 손바닥>으로

이것은 성립한다면 굉장히 재미있을 가설이나, ‘에는 손을 내민다는 의미가 없는 것 같으므로, 유감이나 거기까지 의미는 없을지도요.

 

그 자체는, 마음 속의 생각을 크고 넓게 늘려서 전개하는 것이라든지, 푸는 것이라는 의미밖애 없고, ‘수 편()’은 손이나 손을 쓰는 동작에 관한 것이므로, ‘손을 내민다는 의미는 갖고 있지 않습니다. ‘는 있는 것을 짜눌러 펴는 모양입니다. ‘+ 음 부호이므로 있는 것을 손을 써서 펴는 동작을 가리킵니다.

와 같은 계열 단어는 ()’ (밀어내다) ‘()’ (늧추다). 가장 가까운 의미인 글자는 ’ (펴다)입니다.

 

손을 내민다는 의미에 구애받지 않는다면

<작은 손바닥>에 대응되는 <서곡>

이란 풍으로 받아들이지 못할 것도 아니라고 여깁니다.


다만, 여기에서 중요해지는 것이, <작은 손바닥>(시간축에서) 먼저인가, 벚꽃 서곡이 먼저인가 하는 문제인데.

  

<작은 손바닥>에 있는 가사

 감싸 안겨서 잠들어라 저 봄 노래 속에서’, ‘이윽고 다가올 그 날은 새로운 계절을 시작했어

<벚꽃 서곡>의 가사

그 때는 저 장소에서 봄바람이 불어오겠지'저 장소를 향해 싣고 가 새로운 싹이 트는 바람이 봄바람이

볼 때, <작은 손바닥> 후에 <벛꽃 서곡>이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

 

 <작은 손바닥>‘(겨울인 현재에 있어서) 저 봄 노래 속에서’, ‘이윽고 다가올 그 날은미래형으로 대응하고,

<벛꽃 서곡>은 곡 중반에, 사비[각주:4]그 때는 꼭 저 장소에서 봄바람이 불어오겠지란 가사가 있으며,

거듭해서 곡의 종결부에, 사비 후 저 장소를 향해 싣고 가 새로운 싹이 트는 바람이 봄바람이란 가사가 있습니다.

그렇단 것은, 마지막에는 봄바람이 불었다 = 새로운 계절이 시작되었다란 풍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

, <작은 손바닥>이윽고 다가올 그 날<벚꽃 서곡>에서 무사히 맞을 수 있었다고 해석하고 싶은 바입니다.

 

그럼 여기까지 생각해보면 질문자의

>>‘‘는 나기사의 학교졸업가정 (생활)’을 표현하고 있고

이 뒤 부분은 성립될 수 없는 것

이라는 게 제 의견입니다.

  1. 위키피디아 본관에서는 마에다 준이 이 곡을 작곡했다고 하지만 일본 위키피디아와 유튜브 정식 곡 저작권 정보에서는 이 사람이 작곡, 작사, 편곡을 다 맡아 했다고 한다. 그 외 믿을 만한 사이트에서도 마찬가지, [본문으로]
  2. 오래된 서클 같은데 하테나 블로그가 해킹 당힌 것 같다. (일본어 블로근데 북유럽쪽 광고가 있어) 근데 ‘마에다 준 어록을 정리해 놓을 정도의 빠돌이들’ 이라는 정보를 빼면 이상하게도 구글링해봐도 소득이 없다 [본문으로]
  3. hurry starfish. 이부키 후코의 테마곡 [본문으로]
  4. 노래에서 가장 들려주고 싶은 부분, 클라이맥스 [본문으로]
  Comments,     Trackbacks